Home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제목
실감하는 체육정책으로 <류 병관 용인대교수>
작성자
경기도체육회
작성일
2009/07/14
파일첨부
첨부파일없음

실감하는 체육정책으로

많은 지자체들이 자전거 도로를 만들고 국산 자전거를 생산해야 한다는 이야기들도 하고 있다. 몇몇 지자체는 조만간 자전거 천국이 될 것처럼 선전도 하고 있다. 대통령도 세계10위를 운운한다.

언론에서 이런 이야기들을 듣다보면 국민들은 은연중에 우리가 상당한 체육 선진국인 것처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전국의 몇몇 지자체들이 자전거 정책을 펴고 자전거 도로를 곳곳에 설치한다고 해서 과연 우리 국민들에게 자전거가 일상의 생활이 되고 삶의 일부가 되게 될지는 의문이다.

왜냐하면 여전히 이런 변화를 실감하는 국민들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자전거도로 보급률은 얼마나 되는지? 선진국들과 비교해서는 어떤지?

실제적인 정보도 없을뿐더러 자전거 타기의 필요성에 대한 구체적 이해와 설명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말이면 보도 블럭을 새로 뒤집고 설치하는 예산들을 조금씩이라도 안전한 자전거 길을 만드는데 모든 지자체들이 나서고 자전거 타기를 통한 건강 지키기와 대중교통 대체 수단으로서의 기능성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홍보한다면 지금보다 조금은 더 나아지지 않을까는 싶다.

한강변과 분당 탄천변의 자전거길 그리고 몇몇 지자체들의 자전거 도로 확장만으로는 국민 전체가 실감하는 자전거타기의 생활화가 이뤄지지는 않을 것 같다.

자전거로 출퇴근을 하기 위해 자전거 한 대를 사서 등교를 시도한 적인 있었다. 그러나 생명의 위협만을 느끼고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분위기만 그럴 뿐 여전히 요원한 일이었다.

자전거 도로의 확장은 중요한 체육정책의 하나가 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는 월드컵 축구나 올림픽 같은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제외 하고는 국민들이 실감하는 체육 정책은 없다.

도로의 효율적 활용이라든지 국민생활의 편리 측면을 넘어 정부 주도의 체육정책이 하나도 없다는 것을 감안하면 자전거 도로의 확장과 자전거 타기는 국민들의 신체활동을 리드하는 큰 축의 체육정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관점은 없는 것 같다.

그런 면 에서 수주전의 독일 여행은 독일이 얼마나 체육을 국민들의 삶속에 심는지를 실감하게 해주었다. 대부분 뮌헨의 도로는 차도와 자전거 도로와 인도로 구분되어 있다. 횡단보도도 자전거가 건너가는 길이 구분되어 있을 정도였다.

대부분의 소도시들도 전부 마찬가지였다. ‘슈바바크’는 뮌헨에서 3시간 정도 떨어진 인구 10만 정도의 소도시다. 돌아본 도시 중에 우리나라 작은 시 정도의 규모였기 때문에 비교의 대상으로 삼기에도 가장 유리해 보였다.

필자가 사는 용인시 수지구가 23만이 넘는 지역이니까 그 반도 채 안 돼는 우리나라 지방 소도시 정도라고 보면 될 것 같다.

그러나 그 도시 시민들의 생활 속에 있는 체육문화는 우리가 생각하는 차원을 넘어서 있었다. 도로전체에 연결되어 있는 자전거 도로망은 도시 어느 곳이나 자전거를 이용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고 30개가 넘는 스포츠 클럽들에는 다양한 각종 스포츠들을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었다.

시의 부시장 말로는 ‘슈바바크’ 에 있는 30개의 각종 스포츠 클럽은 각각 53개 종목의 운동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고 시민들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은 정부의 지원으로 운영되며 시민들의 부담은 아주 적은 실비정도였던 것도 인상 깊은 내용이었다.

훌륭한 시설과 다양한 프로그램,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체육활동 자체를 즐기는 독일인들의 삶의 모습 그 자체였다. 클럽에서 태권도 수련을 하는 대학 진학을 앞둔 한 여학생은 오히려 대학 진학후의 학교생활 때문에 태권도 수련이 지장 받을 까봐 걱정하고 있었다. 그만큼 삶의 질에 있어서 체육활동의 비중이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었다.

아버지 부시 대통령 시절 미국은 내적으로 비만과의 전쟁을 내세우고 비만한 미국인에서 건강한 미국인으로의 전환을 시도했고 캐나다는 국민체력의 향상이 국가 경제활동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런 국가 정책들을 국민들이 실제로 느끼게 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것이 정책 자체의 실효성과 바로 연결이 된다는 것을 보여줬다.

자전거 도로를 아무리 많이 건설한들 국민들이 자전거 타기의 실질적인 효용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죽은 정책이 될 수밖에 없고 지자체들의 이벤트성 행사들로 밖에 인식되지 않을 것이다.

지금이라도 자전거 타기를 국민건강 향상과 이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제대로 된 국가 정책으로 삼아 제대로 홍보하고 연말의 보도블럭 교체대신 자전거길 확장을 범국가적으로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류 병관 용인대교수

<2009. 7 .14 중부일보>